G2TT
来源类型Issue Studies
规范类型报告
Th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the interlinkages among the national sustainability implementation tasks
Hanwoom Hong
发表日期2019-03-06
出版年2019
语种英语 ; Korean
摘要
사회·환경·경제의 통합적 달성을 위해 UN 2030 의제에서 17개 SDGs와 169개 세부목표가 선정되었다. SDGs와 세부목표 사이에는 서로 강화하거나 상충하는 연관성이 있으므로 사회·환경·경제 통합 달성을 위해서는 SDGs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방법은 크게 분석 프레임워크 제시를 통한 정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량분석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정성분석을 시행하면 신뢰도 높은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면 네트워크 그림과 중심성 통계량을 통해 SDGs 및 세부목표 간의 연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신중심성, 송신중심성, 연결중심성, 고유벡터중심성, 매개중심성 통계량을 통해 효율적이고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목표, 혹은 어떤 세부목표에 집중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제1차 국가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06~’10)?, 2011년 제1차 기본계획 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사회적 형평성, 기후변화 대응, 환경자원의 지속성을 강화한 ?제 2차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1~’15)?, 2016년 ?제3차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16~’35)?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국가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의 보고서를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범분석을 통해 이행과제 및 세부이행과제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종류별 중심성 통계량을 통해 중심도가 높은 이행과제 및 세부 이행과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분석 방법론 및 이행과제 분석 모형은 2018년 12월에 수립된 K-SDGs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K-SDGs는 초안 단계부터 다양한 전문가 풀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 전문가 풀과 본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면 신뢰도 있는 K-SDGs 간 연관관계 분석이 가능하다.
来源智库Korea Evironment Institute (Republic of Korea)
资源类型智库出版物
条目标识符http://119.78.100.153/handle/2XGU8XDN/198893
推荐引用方式
GB/T 7714
Hanwoom Hong. Th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the interlinkages among the national sustainability implementation tasks. 2019.
条目包含的文件
文件名称/大小 资源类型 版本类型 开放类型 使用许可
수시_2019_06_홍í•(1100KB)智库出版物 限制开放CC BY-NC-SA浏览
个性服务
推荐该条目
保存到收藏夹
导出为Endnote文件
谷歌学术
谷歌学术中相似的文章
[Hanwoom Hong]的文章
百度学术
百度学术中相似的文章
[Hanwoom Hong]的文章
必应学术
必应学术中相似的文章
[Hanwoom Hong]的文章
相关权益政策
暂无数据
收藏/分享
文件名: 수시_2019_06_홍한움.pdf
格式: Adobe PDF

除非特别说明,本系统中所有内容都受版权保护,并保留所有权利。